월요일, 11월 05, 2012

싱글 프리젠테이션 리스닝 - 모든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싱글 프리젠테이션 리스닝 - 모든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지금까지 설명한 분석적인 감상에서는 제품의 특정한 소리 특성을 비교하여 알려줍니다. 'CD 트랜스포트 A는 저역을 깊게 내주며, 고역이 매끈하고, 음장에 깊이가 있음. 반면에 트랜스포트 B는 더 세부적으로 상세하며, 응답이 빠르고 좀더 초점이 잡힌 음장을 제공함. ' 분석적으로 듣게 되면 제품의 장점과 약점을 찾아낼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이러한 분석에 치우쳤을 때 잃어버리는 것은 각각의 제품이 우리에게 얼마나 음악적으로 느껴지는가 하는 점입니다. 음악을 들을 때 다음에 무엇을 할지 생각하면서 이리저리 돌아다니는지요? 아니면 감상석에 앉아서 꼼짝 않고 계속해서 레코드를 번갈아 듣습니까?

음악을 계속 듣도록 하는 제품의 능력을 표현하는 말로는 음악성(musicality)과 몰입(involvement)이라는 용어가 있음을 설명하였습니다. 음악성이라든지 몰입은 A/B 테스트로는 잘 드러나지 않으며, 어떤 특정한 표현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오랜 기간동안 음악적인 만족을 제공할 수 있는 제품의 성능은 오직 즐거움을 얻기 위해 레벨 매칭도 없이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선곡해가는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A/B 테스트에서처럼 음악을 분해하여 소리의 특성을 찾아내려 한다면, 음악의 의미를 발견하고 받아들이는 우리의 감수성은 파괴되고 맙니다. 몰입은 음악을 단순한 소리의 집합으로서가 아니라 그 자체의 존재로 받아들일 때에 느껴지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비평적으로 듣기에서는 A/B/A 테스트뿐 아니라 "싱글 프리젠테이션 리스닝(single presentation listening)"이라고 부르는 절차를 포함하게 됩니다. 싱글 프리젠테이션 리스닝에서는 제품평가를 위해서 오랜 기간 - 몇 시간이 아니라 며칠 또는 몇 주씩 - 을 듣게 됩니다. 음악을 즐길 때는 소리가 아니라 음악에 대해서만 생각합니다. 만일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음악적인 충족감을 느끼게 되면, 음악과 의미를 전달하는 제품의 능력에 대해 확신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이것은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지표입니다. 

분석적 감상에서 드러나는 제품의 소리 특성과 음악의 즐거움을 위한 감상 동안에 발견되는 음악성은 일반적으로 비례합니다. 특정한 음질적 결함 - 껄끄러운 고역, 딱딱한 질감, 깊이 없는 음장 - 들이 있으면 음악에 깊게 몰입하지 못합니다. 재생되는 소리에 인공적인 착색이 적고, 합성된 것 같은 느낌이 들지 않고, 또 귀에 자극적으로 들리지 않으면, 재생기기를 통해서 듣는다는 생각을 잊고 음악에 푹 잠길 수 있습니다. 기기가 사라지는 체험은 하이엔드 오디오가 가져다주는 축복이라 할 것입니다. 

오디오 평가를 위한 감상에서는 반드시 싱글 프리젠테이션 리스닝과 분석적인 A/B/A 비교를 혼합하고 또 순수하게 음악을 즐기십시오.

댓글 없음:

마크 레빈슨(Mark Levinson)

  마크 레빈슨(Mark Levinson) 회사 이력 마크 레빈슨은 1972년 미국에서 설립된 하이엔드 오디오 브랜드로, 창립자 마크 레빈슨이 직접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프리앰프와 파워앰프 등 고성능 오디오 컴포넌트로 명성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