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고급 DAC 가 아니더라도 AES 인터페이스를 장착하곤 한다.
왜 디지탈 오디오 신호 전송에 대한 다른 인터페이스가 필요한가?
그에 대한 음질의 차이가 있는가?
아래의 글은 전압의 차이로 인한 장거리 전송에 대한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다른 글에서는 포멧 변환에 문제점도 지적하기도 한다.
한번 살펴 보시라.
Tomi Engdahl 의 글이다.
http://www.mtsu.edu/~dsmitche/rim420/materials/Interface.html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2025 서울국제오디오쇼(SIAS, Seoul International Audio Show)
2025년 3월 7일부터 9일까지 여의도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성대하게 개최된 ‘2025 서울국제오디오쇼(SIAS, Seoul International Audio Show)’는 국내외 오디오 애호가와 업계 전문가, 일반 관람객 모두에게 깊은 인상을 ...

-
스피커의 종류와 작동원리 수 년 동안 전기적 신호에 답하여 공기를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많은 메커니즘들이 시도되었습니다. 소리를 만드는데 있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 그리고 실용적으로도 - 제품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3가지입니다. 다이내...
-
일반 적인 스피커 유닛의 각 부분 별 명칭입니다. 국가 마다 조금 다르게 사용되며, 특히 일본에서는 자신들이 편하게 발음할 수 있도록 쓰다보니 일본에서 발행된 책의 번역서를 보면 오히려 이해하기가 더 어렵습니다. 특히 진동판을 의미하는 다이어프램(Di...
-
SPDIF(S/PDIF) 는 무엇인가? S/PDIF 는 Sony 와 Philips가 함께 만든 디지털 연결 포멧이다. 이것은 96Ksps(Kilo Samples / sec) 이상의 샘플링 레이트와 24 비트까지의 샘플 정밀도를 가진 스테레오 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