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 11월 05, 2012

CD 트랜스포트

CD 트랜스포트 


CD 트랜스포트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가 없는 CD 플레이어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CD 플레이어에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만들어내는 대신에 트랜스포트는 다른 컴포넌트, 즉 디지털 프로세서에서 아날로그로 전환되어야 하는 디지털 데이터스트림을 출력합니다. 트랜스포트와 프로세서의 조합은 본질적으로 2개의 박스로 된 CD 플레이어입니다. 그림 8-2는 3가지의 디지털 프론트엔드 접속 방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CD 플레이어, 트랜스포트/디지털 프로세서 조합, 그리고 CD 트랜스포트로 사용되는 CD 플레이어입니다.  





그림 8-2 디지털 프론트엔드는 CD 플레이어(위), CD 트랜스포트와 디지털 

프로세서(가운데) .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구동하는 CD 플레이어가 될 수 

있습니다. (아래) 






많은 CD 플레이어는 트랜스포트로 작동하도록 해주는 디지털 출력 단자를 갖고 있습니다. 디지털 인터커넥트 케이블은 CD 플레이어의 아날로그 회로와 출력을 바이패스하여 CD 플레이어의 디지털 출력 단자에서 디지털 프로세서의 디지털 입력으로 연결합니다. 이 연결 방법은 그림 8-2에 나와 있습니다. CD 플레이어의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는 대개 분리형이며, 고급의 D/A 컨버터로 교체합니다. 많은 오디오 애호가들은 기존 CD 플레이어에 별도의 디지털 프로세서를 추가함으로써 자신의 디지털 프론트엔드를 업그레이드합니다. 

트랜스포트는 다양한 출력 연결방법을 가질 수 있습니다. 4가지의 주요한 형태는 동축(coaxial), 토스링크 옵티컬(Toslink optical), AES/EBU(XLR 단자), 그리고 AT&T ST-타입 글래스 파이버 옵티컬(glass fiber optical)입니다(이들 인터페이스는 이번 장의 뒷부분에 있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실제로 모든 하이엔드 트랜스포트는 최소한 동축 출력을 갖고 있으며, 어떤 것들은 모든 4개의 출력을 제공합니다. 트랜스포트는 대개 동축 출력을 표준으로 포함하며, AES/EBU나 ST-타입 옵티컬을 옵션으로 제공합니다. 이러한 옵션은 보통 대체로 각각 $200에서 $400정도 합니다. 그렇지만 ST-Type 글래스 파이버나 AES/EBU 출력을 사용하려면 프로세서가 이들 인터페이스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트랜스포트를 선택하는 유일한 방법은 여러분의 가격 범위 내에서 몇 몇 모델들을 듣는 것입니다. 트랜스포트를 여러분들이 구동시킬 프로세서로 시청하는 것은 좋은 생각입니다. 모든 트랜스포트는 음질 측면에서 장단점을 갖고 있습니다; 후보가 될 트랜스포트를 여러분이 사용할 디지털 프로세서로 들어보면, 가장 음악적으로 잘 맞는 것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디지털 프로세서는 트랜스포트의 소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디지털 프론트-엔드의 소리는 트랜스포트와 프로세서 단체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어떻게 작동하는가로 결정됩니다. 

트랜스포트는 그들이 구동하는 프로세서에 따라 다른 소리를 냅니다. 왜냐하면 모든 디지털 프로세서는 트랜스포트 지터에 다르게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트랜스포트 지터는 트랜스포트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스트림 출력에서의 시간 변동입니다. 이 데이터 스트림 지터는 디지털 프로세서의 클록(소리를 저하시키는 곳입니다)을 따라서 통과하거나, 아니면 디지털 프로세서에 의해서 거부되어 음질 저하를 방지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트랜스포트는 어떤 프로세서의 경우에는 훨씬 더 많은 음질 차이를 보입니다. 만일 비교적 트랜스포트의 지터에 영향을 덜 받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선택했다면, CD 트랜스포트에 돈을 덜 들이고도 더 좋은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트랜스포트와 프로세서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소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다른 인터페이스(동축, ST-타입 옵티컬, AES/EBU, 토스링크) 사이에 소리 차이가 존재하는 것 뿐 아니라 동일한 인터페이스끼리도 케이블에 따라 소리가 달라집니다. 2개의 동축케이블은 거의 2개의 트랜스포트만큼 다른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만일 예산이 없다면, 라디오색(RadioShack)에서 구할 수 있는 75옴 비디오 케이블을 사용하십시오. 필자는 전에 독특한 지터 분석 계기를 사용하여 여러 디지털 인터커넥트에서 유입되는 지터를 측정해보았습니다. 아날로그 오디오를 위해 설계된 것들이 지터가 가장 높았고, $5불 짜리 라디오색의 비디오 케이블의 지터는 거의 $200 하이엔드 디지털 인터커넥트만큼 낮았습니다. 그리고 소리도 거의 그만큼 좋게 나왔습니다. 

이외에, 트랜스포트와 디지털 인터커넥트의 평가는 다른 컴포넌트의 비교보다 쉽습니다: 레벨이 자동적으로, 그리고 정확하게 매치되기 때문입니다. 모든 트랜스포트와 인터커넥트는 동일한 프로세서를 구동할 때에 같은 음량을 내어줍니다. - 트랜스포트나 인터커넥트는 디지털 코드의 1 또는 0을 바꾸지 않습니다. 

제안된 고 해상도 디지털 오디오 포맷 중 하나를 재생하려면 전문적인 트랜스포트 메커니즘이 필요합니다. 옵티컬 시스템이 표준 CD를 읽기 위해 사용되는 것과 다르며, 레이저가 더 짧은 파장에서 작동합니다. CD 트랜스포트를 선택할 때에는, 새로운 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제품이 매우 적다는 사실에 유의하십시오. 그 대신에, 여러분은 고 해상도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 트랜스포트를 교체(또는, 두 번째 제품을 추가 구입)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현행 DVD 비디오 플레이어는 현재 입수할 수 있는 제한된 수의 24비트/96kHz 오디오 전용 디스크를 재생할 것입니다. 

트랜스포트 샤시의 소리 차이는 거의 완전히 S/PDIF 출력 사이의 지터 결과입니다. 디스크에서 0과 1을 올바르게 복원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쉬운 일입니다; 트랜스포트로부터의 디지털 출력은 동일한 비트-비트 소스 데이터의 사본입니다, 그러나 이 비트의 타이밍은 재생되는 음질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최근 고안된 측정장치는 트랜스포트를 측정하고 계량화하는 수단을 제공하며 지터의 스펙트럴 분포를 밝혀줍니다.(이번 장 뒷부분에 나오는 "규격과 측정치" 편을 보십시오.)

트랜스포트는 평가할 때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디지털 프론트-엔드를 평가하면서 이야기하였던 것과 같은 아티팩트를 들어보십시오. 트랜스포트는 저역의 다이내믹스, 고역의 매끄러움, 전반적인 원근에서 큰 차이를 나타냅니다. 여러분의 프로세서와 재생 시스템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을 고르십시오. 

한 회사 - 네덜란드의 필립스(Philips) - 에서 대부분의 하이엔드 오디오 제조 회사에 트랜스포트 메커니즘을 공급하기 때문에, CD 트랜스포트들이 매우 유사한 특성과 기능을 갖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부분은 동일한 리모트 컨트롤을 공유합니다. 실제적으로 모든 트랜스포트에는 전 후방 트랙 스킵(skip), 오더블 서치(audible search), 그리고 타임 디스플레이가 있습니다. 다른 기능들로는 인덱스 서치, 인덱스 읽기, 그리고 다양한 타임 디스플레이 옵션이 있습니다. 이 마지막 기능은 여러분들이 트랙의 경과시간(elapsed time), 디스크의 잔여 트랙 타임, 그리고 잔여 디스크 타임들 선택하게 해 줍니다. 특히 이 기능은 여러분의 카 스테레오를 위한 카세트 테이프를 제작할 때에 유용합니다. 트랜스포트는 사용하기 쉬워야 합니다. 어떤 것들은 모여있는 작은 버튼을 갖고 있어서 여러분이 원하는 버튼을 찾기 어렵게 되어 있습니다. 다른 것들은 크고, 깨끗하게 표시된 버튼을 갖고 있습니다. 비록 조작성은 음질 다음의 것이지만, 어떤 트랜스포트를 구입해야 될지 결정할 때는 트랜스포트의 사용상 편이성을 고려하십시오.. 또 하나 고려해야할 요소는 트랜스포트의 로딩 방법입니다. 어떤 것들은 탑 로딩으로 뚜껑이나 위가 열러서 디스크를 받아들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서랍식 로딩(drawer loading)으로 프론트 패널에 서랍이 들어 있습니다. 탑 로딩(top loading) 트랜스포트는 기기 장식장의 꼭대기 칸을 필요로 합니다. 반면에 서랍식 로딩 제품은 맨 아래 선반에도 둘 수 있습니다. 

댓글 없음:

마크 레빈슨(Mark Levinson)

  마크 레빈슨(Mark Levinson) 회사 이력 마크 레빈슨은 1972년 미국에서 설립된 하이엔드 오디오 브랜드로, 창립자 마크 레빈슨이 직접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프리앰프와 파워앰프 등 고성능 오디오 컴포넌트로 명성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