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 11월 06, 2012

센터채널 스피커

센터 채널 스피커는 거의 모든 대화, 많은 효과음, 음악 중 일부 등 영화 사운드트랙의 많은 부분을 전달합니다. 하지만 센터 채널 스피커가 전체 홈 시어터 스피커 시스템에서 중요한 존재로 부각된 것은 최근의 일입니다. 
센터 스피커는 보통 비디오 모니터의 위에 수평으로 놓습니다. 물론 모니터 아래 쪽이나 비디오 디스플레이 위쪽의 벽 안쪽에 배치할 수도 있습니다. 프런트 프로젝션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음향 투과성이 높은 스크린 뒤에 둘 수도 있습니다. 그림 6-2는 센터 채널 스피커의 전형적인 배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존의 스테레오 시스템에서는 프런트에 레프트와 라이트라는 2개의 스피커만을 사용하는 비해, 왜 홈 시어터 시스템에서는 그 중간에 3번째 스피커를 별도로 두어야 하는지 의아해 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하지만 센터 채널 스피커는 홈 시어터 시스템에 많은 장점을 제공합니다. 우선 화면상에 나타나는 액션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대화나 다른 소리들을 음향 재생의 정중앙에 단단히 자리잡게 해줍니다. 우리는 등장 인물들이 말을 할 때 화면상에서 보이는 그들의 위치와, 소리가 나오는 위치가 일치하기를 원합니다. 마찬가지로 소리가 전방의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소리 역시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매끄럽게 이동하기를 원합니다. 예를 들어서 자동차의 이미지가 화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자동차의 엔진과 타이어 소리도 차의 움직임을 따라 정확히 이동해야 합니다. 하지만 센터 스피커가 없으면, 차 소리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프하듯이 중간에 공백이 생기는 것을 듣게 될 것입니다. 센터 스피커는 사운드와 화면상의 위치를 일치시켜 줍니다. 
그렇지만 2채널 스테레오 시스템은 2개의 스피커 사이에 음향적인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이른바 팬텀(phantom) 센터 이미지는 동일한 신호가 두 귀에 전달될 때 뇌에 의해서 만들어집니다. 실제 세계에서 우리 바로 앞에 있는 음원은 두 귀를 동시에 울리는 음파를 발생시킵니다. 뇌에서는 이것을 음원이 우리 바로 앞에 있다는 사실을 판단하는 단서로 해석합니다. 마찬가지로 2개의 스피커가 동일한 소리를 발생시켜 양쪽 귀에 똑같은 소리가 들리면, 뇌는 음원이 정면에 있다고 인식합니다. 
2개의 스피커가 이런 팬텀 센터 이미지를 발생시키려면 정확하게 설정되어야 하고, 감상자 역시 두 스피커에서 정확히 같은 거리에 앉아 있어야 합니다. 만일 여러분이 오른쪽으로 치우쳐 앉으면, 센터 이미지가 오른쪽으로 치우칠 것입니다. 게다가 2개의 스피커로부터 팬텀 센터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은 노련한 기술일 수도 있습니다. 팬텀 센터 이미지를 한번도 들어본 적이 없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또한 이런 팬텀 센터 이미지를 그려내는 것은 혼란스럽고 피곤한 두뇌 활동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레프트와 라이트 스피커 사이에 센터 스피커를 두면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화면에서 발생하는 대화와 소리는 한가운데 앉은 사람 뿐만 아니라 모든 감상자들을 위해 견고하게 화면에 고정됩니다. 이렇게 3개의 스피커를 전방에 둔 상태에서는 누군가가 왼쪽으로 약간 치우쳐서 앉더라도 여전히 화면에서 대화가 나오는 것을 들을 수 있습니다. 또한 센터 스피커는 전방의 전체적인 음장이 감상 위치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스피커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해 줍니다. 게다가 센터 스피커는 여러분의 바로 정면에 생생한 소리를 들려줍니다. 덕분에 뇌가 레프트와 라이트 스피커 사이의 팬텀 이미지를 만들어내느라 고생하지 않아도 됩니다. 마지막으로 센터 스피커는 레프트와 라이트 스피커의 부담을 덜어줍니다. 3개의 스피커가 소리를 재생함으로써, 보다 낮은 레벨에서도 깨끗한 소리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센터 스피커를 시스템에 추가하기 

어떤 텔레비전은 내장 스피커를 센터 채널 스피커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입력 단자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런 기능을 사용하지 않도록 권장합니다. TV 스피커의 음질은 레프트와 라이트 스피커의 소리와는 아주 다르기 때문에 전체적인 소리의 품질이 떨어지게 됩니다. 게다가 대부분의 TV 스피커는 외장 케이스의 양쪽 귀퉁이에 달려 있기 때문에 레프트 및 라이트 스피커와 너무 가까워서 좋지 않습니다. 별도의 센터 채널 스피커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무리하게 TV 스피커를 센터 스피커로 사용하지 말고, 그냥 리시버를 팬텀 센터 채널 모드로 설정하십시오. 
다른 브랜드의 센터 스피커를 기존의 레프트와 라이트 스피커에 추가할 수도 있지만, 프런트의 3개 스피커는 가급적이면 서로 맞춰주는 것이 좋습니다. 스피커는 회사마다 소리가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피커를 섞어서 쓰면 스피커의 품질과는 관계없이, 착색이나 부정확함이 나타나게 됩니다. 많은 사람들은 소리가 매끈하게 이동하는 것을 듣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센터 스피커가 레프트나 라이트 스피커와는 다른 소리를 낸다면 매끄럽고 연속적인 음장을 구현할 수 없습니다. 음원이 한 쪽에서 센터 스피커를 거쳐 다른 쪽으로 이동할 때, 소리의 특성이 갑작스럽게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음장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했던 자동차의 예를 다시 생각해 봅시다. 만일 센터 스피커가 레프트나 라이트 스피커와 다른 소리를 낸다면 자동차가 움직이기 시작할 때의 소리 특성이 센터 스피커에서 한번 변하고, 라이트 스피커에서는 다시 원래대로 돌아갈 것입니다. 이렇듯 부조화스런 센터 스피커는 이상적인 매끄러운 음장을 파괴합니다. 
그 해결책은 매칭된 3개의 프런트 채널 스피커를 구입하는 것입니다. 이들의 동일한 음색 특성은 소리의 매끄러운 이동감을 구현할 뿐 아니라, 보다 안정되고 응집력 있는 음장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만약 기존에 가지고 있는 레프트와 라이트 스피커가 고급이어서 이를 계속 사용하고 싶다면, 그 스피커를 만든 회사에서 나온 센터 채널 스피커를 구입하십시오. 3개 한 세트로 나온 것만큼 잘 매치되지는 않겠지만, 같은 회사에서 나온 센터 스피커는 기존의 레프트와 라이트 스피커와 아주 유사한 소리를 낼 것입니다. 낱개 판매되는 센터 스피커는 스테레오 스피커와 동일한 드라이버와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최첨단의 홈 시어터 시스템에서는 3개의 프런트 스피커가 동일합니다. 대부분의 홈 시어터 애호가들은 텔레비전 위에 올려 놓을 수 있을만한 크기로, 많은 저역 재생은 곤란한 소형의 센터 스피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좀 더 거창한 시스템에서는 대형의 풀 레인지 센터 스피커를 사용합니다. 이런 스피커들은 위치를 결정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일반적으로는 프런트 프로젝터 시스템과 함께 사용됩니다. 이 경우 센터 스피커는 영화관과 마찬가지로 음향 투과성이 높은 프로젝션 스크린 뒤에 둘 수 있습니다. 

댓글 없음:

마크 레빈슨(Mark Levinson)

  마크 레빈슨(Mark Levinson) 회사 이력 마크 레빈슨은 1972년 미국에서 설립된 하이엔드 오디오 브랜드로, 창립자 마크 레빈슨이 직접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프리앰프와 파워앰프 등 고성능 오디오 컴포넌트로 명성을 ...